누구든 언제든 아무 전제 조건없이 4년제 학사 과정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졸업은 아무나 할 수 없습니다.
이 페이지는 한국 등 주요 대학의 대학 전공 과정을 모두 망라합니다.
각 전공의 학습자는 4년 간 학습일정표를 참조하여, 매주 시험을 통과해야 다음 주(week) 학습을 이어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 학습 기간은 4년(= 160주)이지만, 더 빨리 혹은 더 늦게 마칠 수 있습니다.
입학 시험은 없습니다. 누구든 160주 학습 과정을 마치면, 즉, 1주차부터 160주차까지 총 160회의 시험을 통과하면, 자동으로 졸업 심사 및 학사 학위 부여 절차를 개시합니다.
학사 학위를 부여받으려면, 한국에서 권위있는 학술지에 졸업 논문의 요약본을 게재해야 합니다. 권위 있는 학술지 목록은 한국연구재단 (NRF)에서 운영하는 "등재학술지" 목록과 한국학술지인용색인 (KCI)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참고하여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각 학회에서 자체적으로 선정한 학술지나, 특정 분야에서 권위가 있는 학술지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사 학위를 부여하는 주체는 AI City Inc의 교육법인 FILL 또는, AI City Inc.와 학사 과정을 공동으로 운영할 국내 주요 대학 명의로 부여될 수 있습니다.
예시 1 - 초등교육학과 (U030401)
학습 일정표
3학년(81~120주차)
4학년(121~160주차)
160주간의 학습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다음 학술지 중 하나에 졸업 논문의 요약본을 게재해야 합니다.
교육학연구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한국교육학회에서 발간하며, 교육학 전반의 연구 논문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열린교육연구 (Korean Journal of Open Education): 한국열린교육학회에서 발간하며, 교육이론과 실제를 포괄한 교육분야의 연구 논문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한국초등교육학회지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초등교육 분야의 논문을 다룹니다.
KCI 등재 학술지: KCI(Korean Citation Index)는 국내 학술지의 질을 평가하고, 학술지 인용 횟수를 바탕으로 학술지의 중요성을 측정하는 기준입니다. KCI에 등재된 학술지들은 한국의 학술 연구 환경을 반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성과를 담고 있습니다.
예시 2 - 물리학과 (U050403)
학습 일정표
2학년(41~80주차)
3학년(81~120주차)
4학년(121~160주차)
160주간의 학습을 성공적으로 마친 뒤, 다음 학술지 중 하나에 졸업 논문의 요약본을 게재해야 합니다.
한국물리학회 학회지(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KCI 등재 학술지: KCI(Korean Citation Index)는 국내 학술지의 질을 평가하고, 학술지 인용 횟수를 바탕으로 학술지의 중요성을 측정하는 기준입니다. KCI에 등재된 학술지들은 한국의 학술 연구 환경을 반영하며, 다양한 분야의 연구 성과를 담고 있습니다.
언어학 (U010101)
국어・국문학 (U010102)
일본어・문학 (U010103)
중국어・문학 (U010104)
기타 아시아어・문학 (U010105)
영미어・문학 (U010106)
독일어・문학 (U010107)
러시아어・문학 (U010108)
스페인어・문학 (U010109)
프랑스어・문학 (U010110)
기타유럽어・문학 (U010111)
교양어・문학 (U010112)
인문과학 (U0102)
문헌정보학 (U010201)
문화・민속・미술사학 (U010202)
심리학 (U010203)
역사・고고학 (U010204)
종교학 (U010205)
국제지역학 (U010206)
철학・윤리학 (U010207)
교양인문학 (U010208)
경영・경제 (U0201)
경영학 (U020101)
경제학 (U020102)
관광학 (U020103)
광고・홍보학 (U020104)
금융・회계・세무학 (U020105)
무역・유통학 (U020106)
교양경상학 (U020107)
법률 (U0202)
법학 (U020201)
사회과학 (U0203)
가족・사회・복지학 (U020301)
국제학 (U020302)
도시・지역학 (U020303)
사회학 (U020304)
언론・방송・매체학 (U020305)
정치외교학 (U020306)
행정학 (U020307)
교양사회과학 (U020308)
교육일반 (U0301)
교육학 (U030101)
유아교육 (U0302)
유아교육학 (U030201)
특수교육 (U0303)
특수교육학 (U030301)
초등교육 (U0304)
초등교육학 (U030401)
중등교육 (U0305)
언어교육 (U030501)
인문교육 (U030502)
사회교육 (U030503)
공학교육 (U030504)
자연계교육 (U030505)
예체능교육 (U030506)
건축 (U0401)
건축・설비공학 (U040101)
건축학 (U040102)
조경학 (U040103)
토목・도시 (U0402)
토목공학 (U040201)
도시공학 (U040202)
교통・운송 (U0403)
지상교통공학 (U040301)
항공학 (U040302)
해양공학 (U040303)
기계・금속 (U0404)
기계공학 (U040401)
금속공학 (U040402)
자동차공학 (U040403)
전기・전자 (U0405)
전기공학 (U040501)
전자공학 (U040502)
제어계측공학 (U040503)
정밀・에너지 (U0406)
광학공학 (U040601)
에너지공학 (U040602)
소재・재료 (U0407)
반도체・세라믹공학 (U040701)
섬유공학 (U040702)
신소재공학 (U040703)
재료공학 (U040704)
컴퓨터・통신 (U0408)
전산학・컴퓨터공학 (U040801)
응용소프트웨어공학 (U040802)
정보・통신공학 (U040803)
산업 (U0409)
산업공학 (U040901)
화공 (U0410)
화학공학 (U041001)
기타 (U0411)
기전공학 (U041101)
응용공학 (U041102)
교양공학 (U041103)
농림・수산 (U0501)
농업학 (U050101)
수산학 (U050102)
산림・원예학 (U050103)
생물・화학・환경(U0502)
생명과학 (U050201)
생물학 (U050202)
동물・수의학 (U050203)
자원학 (U050204)
화학 (U050205)
환경학 (U050206)
생활과학 (U0503)
가정관리학 (U050301)
식품영양학 (U050302)
의류・의상학 (U050303)
교양생활과학 (U050304)
수학・물리・천문・지리 (U0504)
수학 (U050401)
통계학 (U050402)
물리・과학 (U050403)
천문・기상학 (U050404)
지구・지리학 (U050405)
교양자연과학 (U050406)
의료 (U0601)
의학 (U060101)
치의학 (U060102)
한의학 (U060103)
간호 (U0602)
간호학 (U060201)
약학 (U0603)
약학 (U060301)
치료・보건 (U0604)
보건학 (U060401)
재활학 (U060402)
의료공학 (U060403)
디자인 (U0701)
디자인일반 (U070101)
산업디자인 (U070102)
시각디자인 (U070103)
패션디자인 (U070104)
기타디자인 (U070105)
응용예술 (U0702)
공예 (U070201)
사진・만화 (U070202)
영상・예술 (U070203)
무용・체육 (U0703)
무용 (U070301)
체육 (U070302)
미술・조형 (U0704)
순수미술 (U070401)
응용미술 (U070402)
조형 (U070403)
연극・영화 (U0705)
연극・영화 (U070501)
음악 (U0706)
음악학 (U070601)
국악 (U070602)
기악 (U070603)
성악 (U070604)
작곡 (U070605)
기타음악 (U07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