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신도시는 정부와 산업의 제 분야를 자동화하는 수천 개 프로젝트의 융합이며, 이 프로젝트는 여타 프로젝트 수행의 방법과 절차를 우리가 시범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것입니다.
상상해 보십시오.
누구든 원하는 과목을, 원하는 교사로부터, 원하는 친구들과, 원하는 속도로 배우며, 교재는 무료이고, 원하는 교사에 더해, 세상의 모든 지식을 갖춘 교사 Agent가 모든 질문에 답합니다. 교육비는 무료이거나, 거의 무료이며, 무엇을 배우던, 개인의 능력과 적성에 가장 적합한 일자리를 보장하고, 칭화대학(清华大学, Tsinghua University, THU), 절강대학(浙江大学, Zhèjiāng Dàxué), MIT, Yale, Harvard, 동경대(東京大) 등 세계 유수의 대학에서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과목별로 유치원부터 각종 박사 과정까지 매주, 매일 및 매 시간 학습할 커리큘럼 또는 일정표를 작성합니다.
튜터(Tutor or Instructor)는 사람입니다. 튜터는 영어, 수학, 물리, 역사 등의 강좌를 녹화하여, 유튜브같은 영상 플랫폼에 업로드하고, 학습자는 자신의 성향과 지식 수준에 적합한 채널을 구독(Subscribe)합니다.
DeepSeek R1과 Qwen3를 Fine-tuning하여, 세상의 모든 지식을 갖춘 교사를 생성하여, 튜터의 역할과 업무를 보조합니다.
학습자가 일정한 수준의 지식과 경험을 갖추면 그에 합당한 학위나 자격증을 부여합니다.
한국의 전 국민이 1인당 연간 1만원 내외의 학습비를 부담하면, 모든 과목의 튜터들을 보상하고, 시스템 개발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합니다.
우리(팀 주피터)가 이러한 무상 교육 인프라를 만드는 과정과 방법을 잘 보고, 그대로 여타 프로젝트에 적용하십시오.
체제란 삶의 정형화된 양식입니다. 그 중, 교육 체제는 어느 한 국가, 어느 한 시대에서, 기존 노동 자원을 확대재생산하기 위해, 기성 인구가 차세대 인구에게 일련의 지식과 기술을 전수하는 정형화된 방법이며, 초중고 및 대학은 그 구체적 형식입니다.
2025년 5월 현재, 한국은 인구 절벽과 일자리 절벽이 동시에 덮친 이른바 체제 스테그플레이션 상황입니다. AI 기술의 발전에 의해 기존 노동 자원의 역할과 기능의 축소나 변동이 불가피합니다. 이에, 초중고 및 대학의 기능과 역할을 재조명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 사람의 교사가 지도할 수 있는 학생의 수는 제한적이며, 어느 한 사람의 지식도 제한적이고, 하루 중에서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시간도 제한되지만, 교사 업무를 일정부분 대행할 수 있도록 훈련된 AI Agent는 지식도 무제한이고, 지도할 수 있는 학생들의 수도 무제한이며, 시간도 무제한입니다. 그러므로, 학생들에게 지식을 직접 전수하는 교수 방식(man to man)에서, 지식 전수를 AI에게 일정 부분 위임하고, 사람 교사/교수는 AI를 관리 감독하는 것으로 그 역할을 수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제주 AI 교육도시의 교육 인프라 또는 교육 체제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합니다.
유치원부터 박사 과정까지 Creative Commons License 등 오픈소스 교재를 활용하여, 교재비 부담이 없고,
교육 품질은 초중고 및 대학보다 우수하며,
세상의 모든 지식을 갖춘 교수 Agent와 더불어, 학사 행정을 자동화하여, 가계의 교육비 부담도 없고,
사회의 가치 생산 총량이 최대화되도록, 개개인의 역할과 직업을 추천하며,
일할 의지가 있는 모두에게 각자의 능력과 적성에 가장 적합한 일자리를 제공합니다.
이 페이지의 subpage들은 이를 구현한 것입니다.
팀 주피터의 교육 프로젝트
2006년부터 2025년 5월 현재까지 온라인 교육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2017년부터 2025년 5월 현재까지 8년 간 약 6천 개의 코딩(Coding or Programming) 강의 영상을 제작하여, 유튜브 등에 공개하고 있습니다.
팀 주피터가 제작한 200여 강좌 목록(각 셀을 클릭하면 해당 강좌로 연결됩니다.)
제주 AI 교육도시 프로젝트는 그간의 노력을 AI 기술로 재구성하는, 이를테면, "교육 프로젝트 v2"입니다.
교육 자동화는 제반 학사 행정과 교수 활동에 AI를 적용하여, 교원과 직원의 업무 부하(Work Load)를 현저히 줄이고, 개별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며, 학교와 교육청과 교육부의 역할과 기능을 일정 부분 자동화하는 것입니다. 가령, 4년제 대학의 인공지능학과 또는 컴퓨터 공학과에서 인공지능(AI)을 전공할 대학 신입생을 예로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대학 4년 간의 개괄적인 학습 목표를 설정합니다. 이 학과의 졸업생들은 새로운 AI 기술을 개발하거나, 이미 개발된 AI 기술을 1차, 2차, 3차 산업의 자동화에 활용할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그 다음, 개괄적 학습 목표와 오픈소스(Free) 서적을 활용하여, 대학 4년간 학습할 서적들을 기본 주제부터 고급 지식까지 난이도 순서대로 구성합니다. 1년을 2학기, 1학기를 5개월(20주)로 하여, 교재들의 Table of Contents를 참조하여, 4년간의 학습 로드맵을 년, 학기, 월, 주, 일, 시간 단위로 작성합니다 가령, 1학기 1주차, 첫날, 첫시간에 학습할 내용부터, 4년 간 학습할 200주(= 1,000일 = 8,000시간) 분량의 학습 로드맵을 한 시간 단위로 작성합니다.
DeepSeek R1 또는 Qwen 3 등 오픈소스 LLM을 Fine Tuning하여, 인공지능학과 또는 컴퓨터 공학과의 교수 보조 Agent(이하, 교수 Agent)를 생성합니다. Fine Tuning에 필요한 데이터를 준비한 뒤, 교수 Agent로 하여금, 매일의 학습 컨텐츠와 매주의 시험 문제를 출제하여, 학습자의 학습 성과를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도록 Training합니다.
교수 Agent는 학생마다 주간 시험을 제시한 뒤, 학습자가 틀린 문항의 개념을 보충할 새로운 학습 컨텐츠를 생성 및 제공하고, 재시험을 시행합니다. 학습자가 특정 주간의 학습 목표와 내용을 온전히 이해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또한, 교수 Agent는 자신의 학습 지도 방식에 대한 학습자 개개인의 반응을 면밀히 분석하여, 자신이 어떤 학습자를 어떤 방법으로 언제 어떻게 지도하는 것이 가장 좋을 지 끊임없이 고민합니다. 이를 강화 학습(RL)에 의한 AI 모델의 성능 개선이라 표현합니다. 그러므로, 학습자가 1천만 명이라면, 그 각각에게 비치는 교수 Agent의 성격은 제각각입니다. 일부 학습자에게 무미 건조하고, 일부 학습자에게 다정 다감하며, 어떤 학습자는 빠르게 진행하고, 어떤 학습자는 완만히 진행합니다. 이 모두는 각 학습자가 원하는 교수 Agent의 성격을 반영한 것으로, 자신의 학습을 보조하고 지도할 교수의 성격을 학습자 본인이 결정합니다.
교수 Agent는 학습자 각각의 진도를 모니터링하고, 학습 성과를 평가하며, 전체 학습자 그룹 내에서 개별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속도를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계속하여 성적이 부진한 학습자에게 컴퓨터 공학 외에 다른 전공을 추천할 수도 있습니다.
4학년 2학기에는 졸업 자격을 갖췄는지 여부를 판단합니다. 졸업 논문이나 졸업 시험을 통과하려면, MIT 대학 등 세계적 대학의 비슷한 전공 졸업자와 같은 수준이어야 합니다. 달리, 누구나 입학할 수 있지만, 누구나 졸업할 수는 없습니다.
교수 Agent는 학교의 역할과 기능도 일부 수행합니다. 가령, 학습자들의 진도와 성과를 관리할 웹사이트를 준비하고, 전체 학습자의 명단, 특정 과목을 이수했거나, 이수 중인 학습자 명단과 그 각각의 성적, 과목별 및 학습자별 성적을 시각적으로 일목요연하게 표시합니다. 물론, 교수 Agent 외에 학사 행정 Agent를 별도로 준비할 수도 있습니다.
교수 Agent는 교육청과 교육부의 기능도 일부 수행합니다. 가령, 교수 Agent와 학사 행정 Agent는 상호 협력하여, 각종 학습 데이터를 수집하여, 새로운 교육 정책을 입안하고, 입안된 정책을 집행하며, 집행 결과를 수집하여, 이전의 정책을 수정 보완합니다. 이 과정은 사람의 개입없이 진행됩니다.
또한, 교수 Agent는 개별 학습자가 이수한 수년 간의 학습 이력을 기반으로 각자의 적성과 능력을 평가하고, 개인의 만족과 사회적 효용이 최대가 되도록, 그 직업과 직종을 추천합니다.
제주 AI 교육도시의 교육 체제는 이를 초중고의 모든 과목과 대학의 모든 전공에 적용한 결과입니다.
오픈소스 LLM
우리 프로젝트에 오픈소스 LLM을 이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OpenAI의 ChatGPT, xAI의 Grok, Google의 Gemini, MS의 Phi 등 Closed Source LLM은 그 내부 작동 방식을 알 수 없으므로, 코드를 수정하여, 우리가 원하는 기능에 특화된 모델을 만들 수 없습니다.
Closed Source LLM은 이익을 추구하는, 혹은 이익만 추구하는 수익 수단이며, 우리의 프로젝트 전체가 특정 기업에 종속됩니다.
널리 알려진 오픈소스 LLM은 Open Source LLM은 DeepSeek R1, Qwen 3, Tulu, Open Thought 등입니다.
전통적인 코딩은 Java 등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컴퓨터와 대화하는데 반해, AI 코딩은 자연어로 대화하듯 진행합니다. Prompt란 우리가 AI에게 던지는 질문이나 요청입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는 전통적인 코딩 관행과 구별하여, AI 기반의 코딩 방법을 Vibe Coding(글과 말로 하는 코딩)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아래는 대표적인 오픈소스 LLM 중 하나인 DeepSeek R1 7B Open Source LLM를 예로써, 교육부, 교육청, 각급 학교와 교과를 재구성하는 예시입니다. 아래 그림을 클릭하면, 설명 영상으로 연결되며, 각각의 Promp를 클릭하면, Vibe Coding의 내용으로 연결됩니다.
제주 AI 교육도시는 아래 예시의 AI 코딩을 한국의 교육 시스템 뿐 아니라, 입법 사법 행정 의료 등 정부와 사회 인프라 전반에 적용한 것입니다.
아래 이미지는 모두 유튜브 영상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개인 맞춤형 교육
AI 모델의 Fine Tuning이란?
예시 - 컴퓨터 공학과 AI 전공
예시 - 교수 보조 Agent
과목별 및 전공별 교사 Agent를 만드는 과정을 부연 설명합니다.
Open Source LLM인 Qwen 3 또는 DeepSeek R1 7B Open Source 모델을 Fine Tuning하여, 특정 과목 또는 특정 전공의 학습자 지도에 특화된 교사 및 교수 Agent들을 다수 생성합니다.
영어 교사 Agent는 유치원 1년차부터 대학생까지 모든 연령대 학습자의 영어 교육을 담당합니다.
의학 교수 Agent는 의과대학 6년 간의 모든 과목을 지도합니다. 유치원부터 고교까지 약 15개 과목을 모두 지도할 하나의 교사 Agent를 만들되, 차차 각 과목별로 전문화된 교사 Agent를 만듭니다. 전문화된 교사 Agent는 향후 대학의 관련 과목도 지도하게 됩니다. 가령, 수학을 예로써, 당장은 유치원부터 고교 3년차까지 모든 과목을 지도할 Agent를 만들며, 향후 수학 과목에 특화된 Agent를 만들며, 이 Agent는 대학의 수학 과목도 지도하게 됩니다.
대학의 약 50개 전공 각각에 전문화된 교수 Agent를 만듭니다. 가령, 의대 교수 Agent는 의대 예과 2년과 본과 4년 동안 가르칠 모든 과목을 지도합니다. 또한, 수학 교수 Agent는 대학의 수학과 4년 과정의 모든 과목을 지도할 뿐 아니라, 유치원부터 고교 3년까지 수학 과목도 지도하게 됩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오픈소스 LLM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득불 일부 기능은 Closed Source 모델을 제한적으로 이용합니다.
Closed Source인 Claude Sonnet 3.7 모델과 Gemini Deep Research을 이용하여, 각 과목별 및 각 전공별로 학습 일정표를 작성합니다. 가령, 수학 과목의 경우, 유치원부터 고교 3년차까지 14년 간의 학습 일정표를 월간, 주간, 일일 및 매 시간 별로 작성합니다.
작성된 학습일정표를 이용하여, Qwen3(0.6B) 모델과 DeepSeek R1(8B) 모델을 Fine Tuning합니다. 그로써, 이 두 모델은 학습일정표에 포함된 모든 자료와 지식에 능통하게 됩니다.
Claude Sonnet 3.7 모델과 Gemini Deep Research을 활용하여, Qwen3(0.6B) 모델과 DeepSeek R1(8B) 모델이 학습일정표의 일일 학습 주제 각각의 시험 문항을 효과적으로 출제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Qwen3(0.6B) 모델과 DeepSeek R1(8B) 모델이 학습자 각각의 학습 특성을 분석하고, 대응 방안을 수립 및 수행하는 등의 업무와 더불어, 학습자 통계 정보를 웹페이지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가령, 초등학교 6학년인 홍길동의 과목별 성적, 학습 진행 속도, 교우들과 협동 정도 등을 파악하고, 그래프와 숫자로 웹페이지에 표현합니다.
개인 뿐 아니라 집단의 통계 정보도 효과적으로 도출하고, 표시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가령, 제주지역 초등학생들의 학년별 또는 연령별 평균 수학 학습 수준을 전국 평균과 비교하는 등입니다.
교육 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할 수 있도록 훈련합니다. 가령, 제주지역 초등학생들이 방과후 로보틱스 수업에 참여하는 비율 또는 수준을 전국 평균과 비교하여, 그 수준이 낮다면 높일 방안을 수립하고, 높다면, 보다 수준높은 로보틱스 실습 주제를 선정하고, 관련 기자재를 조달하며, 수업을 지도할 교사를 선발하는 등의 정책을 수립합니다.
아래 이미지는 모두 유튜브 영상에 링크되어 있습니다.
개인 맞춤형 교육 인프라
수천 만 명을 동시에 가르치는 교사
Prompt
부가적인 설명(Youtube)
교육 정책 및 학사 행정 자동화
Prompt
부가적인 설명(Youtube)
진로 추천 AI
Distillation(증류)
다양한 LLM을 이용하여, 유치원부터 대학원까지 모든 전공과 모든 과목의 교육 컨텐츠를 생성하고, 그 각각의 시험 문항들을 작성합니다. 가령, 4년제 법학전문대학원의 2년차 첫주, 첫날, 오전 4시간의 학습 컨텐츠와 그 시험 문항을 출제하는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제일 먼저할 일은 특정 LLM을 이용하여, 4년제 법학전문대학원의 학습 일정표를 작성합니다. 1학년 1학기 첫주, 첫시간에 공부할 주제부터 4년차 2학기 마지막 주, 마지막 날, 마지막 시간에 공부할 주제까지 순서대로 나열합니다. 이렇게 도출된 결과물을 우리는 전공별 학습일정표라 부르는데, 우리는 주로 Claude 3.7을 이용하여 이 과정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다음, Google의 Deep Research, MS의 Phi, xAI의 Grok, Anthrophic의 Claude 3.7 Sonnet 등 다양한 LLM들로 하여금, 학습일정표 상의 매일매일의 하급 주제에 대응하는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게 합니다. 가령, 다섯 종의 LLM이 다섯 종의 학습 주제에 상응하는 다섯 종의 학습 컨텐츠를 생성합니다. 우리는 이를 특정 주제의 시드 컨텐츠( Seed Contents)라 부릅니다. 시드 컨텐츠는 주로 Closed Source LLM으로 생성합니다.
DeepSeek R1과 같은 오픈소스 LLM으로, 전술한 여러 LLM이 생성한 서로 다른 시드 컨텐츠들을 하나로 합칩니다. 서로 중복된 부분을 제거하고, 논리적으로 기승전결을 갖추도록 재구성합니다. 이렇게 도출된 특정 주제의 학습 컨텐츠를 우리는 Distilled Contents라 부르는데, 이 과정을 통해, 우리가 선정한 오픈소스 LLM이 학습 주제마다 다양하고 깊이있는 지식을 갖추게 됩니다.
재차, 다양한 LLM들로 하여금, Distilled Contents를 이용하여, 각기 객관식과 주관식 시험 문항을 10문항 씩 출제하도록 지시합니다. 가령, 5종의 LLM이 5세트(객관식 10문항, 주관식 10문항)의 문제집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그 다음, 재차 오픈소스 LLM으로 이 모든 문항들을 합칩니다. 이 문제집을 우리는 Seed Questions라 부르며, 이 과정을 통해, 우리가 선정한 오픈소스 LLM은 탁월한 문제 출제 능력을 갖게 됩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특정 과목 및 특정 전공에 특화된 다수의 교사 Agent를 생성합니다. 그런데, Agent는 사람과 달리, 여럿이 하나이고, 하나가 여럿이므로, 사실상 세상의 모든 지식을 갖추게 됩니다.
이로써, 이들 오픈소스 LLM들은 법학전문대학원의 1년차 첫주, 첫날, 첫 시간에 배울 학습 주제부터 4년차 마지막 주, 마지막 날, 마지막 시간의 학습 주제까지 매일매일의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고, 문제를 출제할 수 있는 고도의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 우리는 이 과정을 통칭하여 Distillation(증류)라 부릅니다.
교육 체제의 토대는 모든 과목, 모든 전공에 대응하는 다양한 교사 Agent입니다.
교사 및 교수 Agent는 오픈소스 LLM인 Qwen3 또는 DeepSeek R1 Open Source Model을 Fine Tuning하여, 교사의 교수 활동을 보조하고, 학습자 관리 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기능을 겸하도록 만든 것입니다. 즉, 물리적인 안드로이드 로봇처럼, 추상적으로 사람과 시스템을 AI로 합친 것입니다(人+制).
이 시스템은 LMS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외에, 학생 개개인의 적성과 능력을 평가하고, 진로를 추천할 수 있습니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및 대학원의 모든 교과목을 1주일, 1일, 1시간 단위로 나눠, 그 각각의 학습 컨텐츠를 제공합니다. 가령, 한국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은 대개 유치원 3~4년, 초등학교 6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3년 간 학습하며, 유치원 입학부터 고교 졸업까지 15~16년 간 학습합니다. 거기에 학사 과정 4년, 석사 과정 2년, 박사 과정 3년을 더하면, 많게는 25년 이상을 학교에서 보냅니다.
학교에서의 1년을 2학기로 나누고, 1학기를 20주로 나누면, 1년은 40주입니다. 1주는 5일(월~금)이고, 하루는 8시간(오전 오후 각 4시간)이므로, 유치원 입학 시점부터 박사 과정 졸업까지 25년(= 1,000주 = 5,000일 = 48,000시간) 간의 학습 일정표를 매 과목마다, 매년, 매월, 매주, 매일, 매 시간 단위로 작성합니다.
교사 Agent는 사람 교사의 손과 발이 되어, 각 학생의 학습을 지도하고, Agent와 학생들 간의 상호 작용을 모니터링합니다.
기존 교육 체제는 교사가 직접 학생에게 지식과 기술을 가르칩니다. 새로운 교육체제는 교사와 학생 사이에 Agent를 추가합니다.
예시
유치원과 초중고의 산수와 수학을 예로써, 과목별 학습 방법과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유치원에 입학하여 처음 배우는 산수와 고등학교 3년차에서 배울 수학을 모두 합쳐서, 하나의 수학 커리큘럼을 구성합니다.
유치원 입학 첫주, 첫날, 첫시간에 공부할 산수와 고등학교 3년차 마지막 주의 마지막 날, 마지막 시간에 배울 수학까지 주5일, 하루 8시간 동안, 매 시간마다 공부할 학습 컨텐츠를 순서대로 나열합니다. 가령, 덧셈 뺄셈부터 미적분까지 일렬로 나열합니다.
교사 Agent는 유치원 입학생 각각에게 첫주 첫날 배울 산수의 교과 내용을 제시하고, 질문에 답하며, 진도를 관찰합니다. 교사 Agent는 학습자에게 매년, 매월, 매주, 매일 및 매 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인터액티브 웹페이지(Interactive HTML) 형태로 제공하고, 매일, 매주, 매월, 매 분기, 및/또는 매년마다 일정 수의 객관식과 주관식 시험 문항을 제시합니다.
학습자가 첫 주의 학습 분량을 마치면, 교사 Agent는 시험을 제시합니다. 가령, 시험 문항은 10개이며(주관식과 객관식) 학생 1천 명에게 1천 세트의 서로 다른 시험 문항들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가령, 매주 금요일마다 그 주에 학습한 내용의 시험을 제시합니다.
학습자가 시험 문항의 80% 이상을 맞추면, 학습일정표에 따라, 다음 주에 학습할 내용을 제시합니다. 통과하지 못하면, 학습자가 틀린 문제에서 왜 틀렸는지 분석하고, 난이도를 낮춘 새로운 학습 컨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합니다. 학습자가 해당 주의 학습량을 온전히 소화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며, 이 모든 과정을 기록합니다.
학습자가 어느 하루 또는 한 주(weed)에 할당된 학습량을 마치고, 시험을 통과하면, 다음 주 또는 다음 날 학습으로 이어갈 수 있습니다. 가령, 시험은 10문항이 제시되고, 통과를 위해서는 8문항 이상을 맞춰야 합니다. 어떤 학생은 일찍 마치기도 하고, 어떤 학생은 늦게 마치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교사가 교실의 학생들에게 일괄적으로 가르치는 형태는 없습니다. 만약, 학습자에게 할당된 어느 한 주의 학습 내용을 소화하지 못하면, 가령, 그 주의 수학 시험을 계속해서 통과하지 못하면, 다음 주로 예정된 학습 분량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어떤 학습자는 유치원부터 고교까지 15~16년 치의 수학 학습을 불과 5~6년 만에 마칠 수도 있고, 어떤 학습자는 16년 이상이 걸리거나 끝까지 마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교사 Agent는 학습자가 만약 수학에 재능이 전혀없거나, 매우 부족하다고 판단되면, 다른 과목이나 진로를 추천합니다. 가령, 하위 10~20% 학습자에게는 기본적인 산수만 가르치고, 그 외 추가적인 수학 학습 일정을 취소합니다. 그러므로, 수학에 아예 재능이 없는 학생들이 억지로 미적분을 배울 필요는 없습니다.
어느 한 과목의 학습 진도가 느리면, 교사 Agent는 컨텐츠의 난이도를 낮추거나, 다른 과목의 학습을 추천합니다. 그러므로, 지금처럼, 학습 능력과 적성이 상이한 학생들이 같은 날, 같은 시간에, 같은 교실에 앉아, 같은 수업을 받고, 같은 과목을 같은 속도로 공부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즉, 각자는 각자의 능력과 적성에 맞은 과목을, 각자에게 적합한 속도로 학습합니다(Self-paced learning).
교사/교수 Agent는 시험을 출제하고, 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필요하다면, 학습자가 다음날 학습을 이어가기 전에, 그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줄 새로운 학습 컨텐츠를 작성하여 제공하고, 재시험을 출제합니다. 마치 게임처럼, 학습자는 매일매일 할당된 학습 과제를 충분히 이해해야 다음날 혹은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가령, 수학에 관심이 없거나, 적성에 맞지 않다면, 대개 초등학교나 중학교 수준의 수학 학습으로 마치며, 고교 수준의 수학을 배우지 않습니다.
교사 Agent는 시험 결과를 매주 학부모 및 교사 등에게 메일로 전송하거나, 또는 웹사이트에 게시하고, 권한있는 사람들에게 특정 정보의 접근권을 제공합니다. 가령, 특정 학부모나 교사는 특정 학생(들)의 성적만 열람할 수 있습니다.
교사 Agent는 학습자의 질문에 성실히 답하며,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질문을 했는지 모두 기록하고, 해당 기록을 토대로 그의 적성과 능력을 평가하며 진로를 추천합니다. 유치원부터 고교 졸업까지 하루하루 학습 이력과 시험 결과를 모두 기록하므로, 별도의 대학 입학 시험이나 전형이 불필요합니다.
모든 교재는 오픈소스(가령, Creative Commons License)이고, 초등학교는 주로 한국어 교재, 중학교는 한국어와 영어가 섞인 교재, 고등학교는 영어 교재를 제공합니다.
기존 학교에서 사람 교사가 교수 활동을 전담하는 것과 달리, 새로운 교육 체제에서 사람 수학 교사는 "수학 교사 Agent"와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을 모니터링하고, 교사 Agent의 부족한 점을 보완합니다.
이 시스템은 각국의 교육 정책 수립에 참조할 다량의, 그리고 양질의 학습 관련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습니다. 가령, 학습자 개개인의 진도와 성적을 상대 평가하고, 그 통계 데이터를 교육 정책 등 여타 분야에 익명으로 활용합니다(Zero-knowledge proof).
교사 Agent는 매주, 매일, 매시간 학습할 분량을 제시하고, 질문에 답하며, 진로를 추천하고, 학습을 지도하는 것외에도, 개별 학습자와 학습자 그룹에 관한 각종 통계를 생성하는 등 기존의 학교, 교육청, 교육부가 수행하는 각종 학사 행정 기능을 수행합니다.
학습 플랫폼은 edX, Coursera를 참조하여, 별도로 제작합니다.
LLM의 파라미터 사이즈 측면에서, 교사 Agent를 만드는 방식은 두 가지입니다.
하나의 Agent에게 세상의 모든 지식을 부여하거나,
각 분야의 지식에 특화된 Agent를 다수 만드는 방법입니다.
전자의 경우, 다양한 사이즈의 LLM 중에서 가장 큰 것을 이용해야하며, 운영비도 비쌉니다. 비유하자면, 고급 스포츠카로 치킨 배달도 하고, 자동차 경주도 뛰는 등 모든 역할을 다하는 방식입니다. 우리는 후자의 방식을 택합니다. 물론, 어떤 경우든 Open Source LLM이어야 합니다.
Qwen3는 0.6billion 모델부터 235billion 모델까지 다양한 사이즈를 제공합니다[링크]. 우리는 0.6billion 모델로 각 과목의 교사 Agent를 생성합니다.
DeepSeek R1은 671 billion 모델이 표준이나, 1.5B에서 70B parameters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Distilled Model들을 제공합니다. 우리는 1.5B 모델을 사용합니다.
우리가 웹에서 쉽게 접하고 이용할 수 있는 ChatGPT나 Claude, Grok, Phi 등 상용 LLM들과 달리, 우리가 만드는 Agent는 그 기반이되는 LLM의 파라미터 사이즈가 작으므로, 어느 한 Agent에 세상의 모든 지식을 담지는 못합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Agent들 간의 협업 체계를 구성합니다.
분야별로 Fine-tuning된 다수의 LLM을 준비합니다. 가령, 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까지 과목별로 특화된 10여 종의 Qwen3 0,6B 모델들입니다.
질문의 대상 분야를 판독할 별도의 Agent를 준비합니다. 우리는 이를 Portal Agent라 부르는데, 이 Agent의 역할은 이용자의 질문을 듣고, 해당 분야가 수학인지 영어인지 혹은 역사인지 등을 판단합니다.
Portal Agent는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을 생성할 과목별 Agent를 호출하고, 그 답변을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매개체입니다.
우리가 만드는 새로운 교육 체제는 유치원부터 박사 과정까지 모든 과목, 모든 전공에 대응하는 각각의 Agent를 만드므로, 학습자는 세상의 모든 지식을 갖게 됩니다.
어떤 교과서도 모든 학습자를 만족시킬 수는 없지만, 한국의 교과서들은 특히 그러합니다. 그 이유는 배움의 목적이 사물과 원리의 이해가 아니라, 대학 진학이며, 고소득 전문직 또는 안정된 직장이기 때문입니다.
AI 시대를 앞두고 더이상 안정된 직장이나 직업은 없습니다. 개인이 AI보다 잘할 수 있는 업무는 거의 없으며, 있다면, 오직 AI를 잘 활용할 수 있는 특별한 사람들 뿐입니다.
우리가 만드는 새로운 교육체제의 교과서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최적 또는 최고입니다.
우리가 최고 수준의 대학 교육을 제공하므로, 따로 입시를 준비할 필요가 없습니다. 우리가 만든 대학 커리큘럼은 MIT나 Stanford 등의 교과 과정을 벤치마킹하여, 그들보다 조금이라도 더 나은 시스템을 구현합니다.
내신 성적과 대학 입학 시험과 같은 단기적 성과가 아니라, 평생 교육을 지향합니다. 기존의 직장과 직업 중 대다수가 AI로 대체될 시대를 앞두고, 기존 대학이 양성한 인재는 시대적 요구에 맞지 않습니다.
사람이 아무리 잘 외워도 컴퓨터의 기억력을 따라갈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암기에 기반한 시험 성적은 인재를 양성하는데 어떤 효용도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AI를 활용하는 생성하는 모든 교과서는 원리에 대한 이해에 초점을 둡니다.
모든 교재는 Creative Commons License 등 오픈소스 저작권이며, 무료로 자유로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 물리 교과서를 만드는 과정
한국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의 목차를 기본으로, 미국, 중국, 일본 등 주요 국가의 물리 교과서의 목차를 참고하여, 물리 현상의 원리 이해 측면에서 부족한 부분을 보강한 새로운 목차를 다양한 LLM으로 작성합니다. 가령, 기존 교과서의 목차를 Grok으로 수정 및 보충한 목차를 참고하십시오.
Deep Research와 Claude 3.7 등을 이용하여, 중학교 1학년 1학기 1주차부터, 고교 3학년 2학기 240주차까지 6년 간의 물리 과목의 학습일정표를 주간 단위로 작성합니다(주당 4시간씩 학습). 예로써, Grok으로 작성한 중고교 6년(= 240주) 학습일정표를 참고하십시오.
학습일정표를 참고하여, 각 Chapter의 내용을 집필합니다. 예로써, 중학교 3학년 1학기 89주차 물리 수업의 학습 주제에 상응하는 교과서 Chapter를 생성한 결과입니다.
교과서를 보조할 교사용 학습 지도서를 작성합니다. 기존 지도서와 달리, AI 기술의 활용 방안을 포함합니다.
마지막으로, 1주차부터 240주차까지, 시간적으로 그리고 논리적으로 상호 연결되는 240개 Chapter들 간의 일관성 확보가 매우 중요하므로, 물리 교사 Agent로 하여금, 교과서의 구절 하나 하나를 감수하도록 합니다.
DMT Park - 물리 교과서의 오류
교과서 오류에 대한 우리의 해법
수천 만 학습자가 교과서 집필에 참여
물리 교사 Agent = 물리 교과서 Agent
Deep Seek R1 1.6Billion 또는 Qwen3 0.6Billion 모델을 공인된 물리 지식으로 Fine-tuning합니다. 공인된 지식이라함은 MIT, Berkeley, Stanford, Tsinghua 등 글로벌 Top 10 대학의 물리학과 학부와 대학원 교재들로 Training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다음, 이전 단계의 R1 또는 Qwen에 교육학 지식을 주입하여, 물리 교사 Agent를 생성합니다. 학생마다 하나의 물리 교사 Agent를 할당하여, 6년 또는 그 이상의 학습 과정을 1:1로 지도합니다.
우리 사회는 법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사범대학, 교육대학 등 일부 전공을 제외한 대다수 전공의 취업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형평성 측면에서 심각한 이슈이지만, 이의를 제기하는 목소리는 들리지 않습니다. 우리가 만드는 새로운 교육체제는 모든 전공의 취업을 보장하며, 취업 후 전직도 자유롭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 한국의 출생자 수는 약 28만 명으로, 2028년도에 만 3세가 되어, 대개 유치원에 들어갑니다. 이들이 사회에 진출하는 2048년도의 직종별 노동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면, 만 3세 아동 각각의 능력과 적성을 토대로 미래의 직업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물론, 아이들이 성장하면서 그 능력과 적성이 변할 것이고, 2048년도의 노동 수요 전망도 변할 것이므로, 각자에 대한 직업 추천을 정기적으로 수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아이들이 사회에 진출할 연령대에 이르면, 아이들의 적성과 능력 평가도 지난 20년 간 이뤄졌고, 노동 수요 전망 역시 바로 다음 해의 전망이므로, 각자에 대한 직업 추천은 매우 정확할 것입니다.
AI와 Robotics 기술의 발전으로 기존 직업의 상당 수가 머잖아 사라질 것입니다.
AI로 대체할 수 없는 직종을 중심으로, 1년 뒤부터 20년 뒤까지 연도별 및 직업별 노동 수요를 추산합니다.
매 해의 출생자들의 사회 진출 연령대를 추산합니다. 가령, 군복무를 고려하여, 단순 기능을 익힐 아이들은 만 23세 전후에 진출할 것이고, 의학이나 법학을 전공할 아이들은 만 30세 전후에 사회에 진출할 것입니다.
아래는 전술한 완전고용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과 절차를 LLM에 입력한 Prompt입니다.
Prompt 예시
아래 질문은 매우 방대한 시스템을 다루고 있습니다. 더욱 신중히 생각한 뒤, 보고서를 작성하십시오.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우리나라(한국) 총 인구는 약 51.95백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Trading Economics에 따르면. 2025년 출생자 수는 약 28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이들 중에서, 미용, 제과제빵 등 기능을 익힐 아이들은 만 20세가 되기 전에 직장 생활을 시작할 것이고, 의학이나 법학을 전공하거나, 박사 과정을 이수할 이들은 만 30세 전후에 시작할 것입니다.
유치원: 2024년 교육기본통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유치원 학생 수는 498,604명으로 전년 대비 4.4% 감소했습니다.
초등학교: 2,495,005명으로 전년 대비 4.2% 감소했습니다.
중학교: 1,332,850명으로 전년 대비 0.5% 증가했습니다.
고등학교: 1,304,325명으로 전년 대비 2.0% 증가했습니다.
대학: 전체 재적학생 수는 3,007,242명으로 전년 대비 1.2% 감소했습니다.
한편, AI와 Robotics 기술의 발전으로 머잖아 많은 직업들이 사라질 것입니다. 가령, 택시나 버스, 화물차를 운전하는 직종은 자율주행 기술의 대중화와 더불어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우리는 DeepSeek R1 Open Source Model을 Finde Tuning하여, 2026년부터 2050년까지 25년간, 한국의 노동 시장 수요를 연도별로 예측하고, 2025년 현재 유치원부터 초중고 및 대학에 재학 중인 인구 각각의 직업을 추천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개발하려 합니다.
이 AI 시스템은 2026년부터 향후 25년간 한국의 연도별 노동 수요를 직종별로 예상해야 합니다.
또한, AI 시스템은 매년 사회에 진출할 인구의 수와 인구 각각의 학력, 이를테면 미용고등학교 졸업자, 제과제빵 고등학교 졸업자, 의학전문대학원 졸업자 등을 파악하고, 그들 각각에게 가장 적합한 직종 또는 직업을 추천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한편, AI 시스템은 유치원 아동부터 대학의 각종 학과 재학생 각각에 대해, 그들이 사회에 진출할 미래 특정 연도의 노동 수요를 기반으로, 지금 무엇을 배우고 익혀야 하며, 어떤 직종이 그들 각각의 능력과 적성에 가장 적합한 지 추천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025년 현재를 기준으로, 2035년도에 한국 사회의 신규 노동 수요가, 의사 1000명, 제과제빵사 1000명, 변호사 100명이라면, 2030년도에 사회에 진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2025년 현재의 유치원생, 중학생, 고등학생 및 대학생들 가운데, 의사, 법률가(변호사, 판사, 검사), 제과제빵사 직종에 그 능력과 적성이 가장 적합한 인구를 선별하여, 그들에게 해당 기술과 지식을 익히도록 추천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2025년 현재 유치원생일 수도, 초등학생일 수도, 중학생일 수도, 고등학생일 수도, 대학생일 수도 있습니다. 가령, 의학전문대학원 과정이 4년이고, 레지던트와 인턴 기간이 4년이므로, 10년 뒤 의사 수요를 충족하기에 적당한 연령은 2025년 현재 대학 2~3학년생입니다. 또한, 대학 과정이 4년, 법학전문대학원 과정이 3년이고, 사법연수원이 2년이므로, 10년 뒤 변호사 수요를 충족하기에 적합한 연령대는 2025년 현재의 고등학교 3학년이 가장 적절하므로, 이 연령대의 인구 중에서 그 능력과 적성을 분석하여 진로를 추천해야 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DeepSeek R1을 Fine tuning하는 방법과 절차를 자세히 기술하십시오. 또한, 비슷한 프로젝트를 수행한 적이 있는 중국의 대학, 연구소, 기업, 정부 기관 중에서 우리와 이 시스템 개발에 협력할 수 있는 곳을 우선 순위에 따라 나열하십시오. 또한, 이들 기관들에게 공동 연구를 제안하는 "공동 연구 제안서"를 작성하고, 연구 비용을 추산하십시오.
우리는 비단 한국뿐 아니라, 세계 각국이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는 새로운 교육 체제를 설계하였습니다.
Prompt 예시 - 교수 Agent 생성
우리는 DeepSeek R1 1.6 billion 모델 및 Qwen3 0.6 billion model과 같은 오픈소스 LLM을 이용하여, 유치원부터 박사 과정까지 전공 및 과목별 교사 Agent를 포함하여, 다양한Agent를 개발하여, 기존의 초중고 및 대학과 별개로 새로운 AI 기반의 글로벌 교육 체계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우리가 개발할 Agent들의 종류는 다음을 포함합니다.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학사, 석사 및 박사 과정에서 학습하는 모든 과목에 대해, 과목마다 하나의 LLM Instance를 Fine tuning하여, 해당 과목의 교사 또는 교수 Agent를 생성합니다. 가령, 수학 교사 Agent는 유치원부터 초중고 및 대학의 수학 과목을 지도하고, 학습자의 수학 관련 질문에 답합니다. 그러므로, 수학 교사 Agent는 세상의 모든 수학 지식을 습득해야 합니다. 교사 Agent의 숫자, 즉, 각 과목별로 Fine-tuning된 LLM Instance의 숫자는 약 1,000개입니다.
하나의 과목에 대응하는 교사 Agent는 하나입니다. 가령, 전세계에서 수학을 공부하는 학습자의 수가 10억 명이라면, 하나의 수학 교사 Agent가 10억 명의 수학 학습을 지도합니다.
과목별 교수 Agent 외에 교육학 Agent를 개발합니다. 이 Agent는 교육학 박사 과정의 모든 지식을 습득합니다. 가령, 교육학 박사 학위는 다양한 전공 분야로 나뉩니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교육학 박사(Ph.D. in Education) 또는 교육 박사(Ed.D.)입니다. 이 외에도 교육 분야별 특화 학위 (예: 교육심리학 박사, 교육정책학 박사, 교육평가학 박사 등)가 있습니다. 교육학 박사 학위는 전공에 따라 다양한 연구 분야를 다루며,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과 능력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교육학 Agent의 수, 즉, 교육학 지식으로 Fine-tuning된 LLM Instance는 하나입니다.
과목별 교사 Agent는 학습자에게 지식을 전수하고, 학습자 개개인의 성적과 학습 진도를 교육학 Agent에게 보고합니다. 교육학 Agent는 과목별 교수 Agent들의 보고를 취합하여,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적성을 파악하고, 그 또는 그녀의 진로를 추천합니다. 가령, 수학에 특별한 재능을 보이는 중고등학교 학습자는 이공계 대학 진학을 추천하며, 생물학에 깊은 관심을 보이는 학습자는 생명공학이나 의과대학 진학을 추천합니다.
커리큘럼 Agent는 유치원, 초중고 및 대학 등의 학습일정표를 작성합니다. 가령, 의학전문대학원은 4년 과정이며, 해부학 등 다양한 과목을 학습해야 합니다. 커리큘럼 Agent는 의학전문대학원 4년(= 160주) 간 학습해야할 주제와 내용을 1일 단위로 작성하고, 매주 시험을 제시합니다.
교과서 Agent는 각 과목별 교과서를 집필합니다.
시험 또는 평가 Agents는 유치원부터 박사 과정까지 매주 시험 문제를 출제하고, 학습자들의 성적을 기록합니다. 가령, 초등학교 학습자들은 초등학교 6년(= 240주) 동안 240회 시험을 치르며, 의학전문대학원 학습자들은 4년(= 160주) 간 160회 시험을 치른 뒤, 졸업 자격이 주어집니다.
통번역 Agent는 우리가 구축한 새로운 교육 체제를 각국의 학생들이 모국어로 학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모든 Agent는 Cloud에 설치되며, 학습자들의 학습 진도를 기록하고, 방대한 지식을 저장할 대규모 DB와 함께 운용됩니다. 먼저, 한국의 제주도에 거주하는 7만 여 유치원, 초중고, 대학, 대학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1~2년 간 시험적으로 운용하고, 이어서 한국 전역으로 확대하며, 재차 세계 전역으로 확대합니다.
모든 국가의 모든 시민과 학생들은 우리가 구축한 새로운 교육 체제, 즉, Fine-tuning된 LLM 기반의 각종 Agent로 유치원부터 박사 과정까지 학습할 수 있습니다. 학습일정표 상의 모든 시험을 통과하고, 적절한 자격 검증 절차를 거친 학습자에게 학사,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합니다. 가령, 의학전문대학원 4년 간의 학습일정표에 따른 160회의 주간 시험을 모두 통과하고, 국제적으로 권위있는 의학전문저널에 졸업 논문의 요약본을 게재하면, 의학 박사 학위를 수여하며, 수여하는 주체는 AI City Inc.의 교육법인 또는 AI City Inc.와 업무 협약을 체결한 국내외 주요 대학입니다.
전술한 각 Agent 각각의 Fine-tuning 절차와 방법, 개발 인력, 개발 기간 및 비용을 추산하십시오. 그리고,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미국 유럽 등 주요 국가의 대학, 연구소, 정부 기관, 기업 등이 "AI 기반의 글로벌 교육 체제 구축 프로젝트"를 공동으로 진행할 컨소시엄을 구성할 방안을 제시하십시오. 마지막으로, 이들 기관들에게 이메일로 보낼 수 있도록 , 이 프로젝트에 참여할 것을 제안하는 제안서를 작성하십시오.
이 시스템은 2028년까지 전 세계 50개국 1억 명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입니다.
LLM의 답변 예시
1.1 과목별 교사 Agent
대상: 수학, 과학, 문학 등 1,000개 과목
모델 선정:
DeepSeek-R1 (1.6B): 복잡한 이론이 필요한 STEM 분야
Qwen3 (0.6B): 인문사회 계열
학습 데이터:
전 세계 교과서 50만 권 (OCR 변환)
Khan Academy, Coursera 등 온라인 강의 10만 시간
과목별 문제은행 (2억 건)
파인튜닝 방법:
개발 기간: 과목당 3~6개월
비용: 과목당 ₩2.3억 (GPU 200시간, 데이터 라벨링 포함)
1.2 교육학 Agent
모델: DeepSeek-R1 1.6B
학습 데이터:
교육학 논문 100만 편 (Springer, IEEE)
학생 프로파일 5,000만 건 (국가교육통계 연계)
기능:
다층 신경망 (MLP) + 트랜스포머 앙상블
학생별 맞춤형 진로 추천 알고리즘
검증: Pearson 상관계수 ≥0.85 (진로 적합도)
1.3 커리큘럼 Agent
모델: Qwen3 0.6B
학습 데이터:
120개국 교육과정 DB
학제별 수업 계획서 20만 건
출력 예시:
1.4 시험 Agent
기술 스택:
문항 난이도 자동 조절 (IRT 이론 적용)
표절 검출 기능 (Bloom's Taxonomy 기반)
비용: ₩8.7억/년 (실시간 채점 시스템 구축)
2.1 참여 기관 우선순위
2.2 컨소시엄 운영 구조
제목: [글로벌 AI 교육 혁명] 컨소시엄 참여 요청
발신처: AI Education Alliance Secretariat (contact@aiedu.org)
안녕하세요, [기관명] 담당자님,
저희 AI Education Alliance는 전 세계 교육 패러다임을 재정의하기 위해 DeepSeek-R1 및 Qwen3 모델 기반의 AI 교사 에이전트 시스템을 개발 중입니다. 귀 기관의 전문성을 다음 분야에 활용하고자 합니다:
[분야 입력]:
예: KAIST의 AI 최적화 기술 → 과목별 교사 Agent 성능 향상
예: Alibaba DAMO의 Cloud 기술 → 10억 명 동시 접속 처리
기대 효과:
교육 격차 해소 (UN SDG 4 달성)
참여 기관별 로열티 수익 분배 (수익 공유 모델)
참여 조건:
기술/데이터 기여 (필수)
초기 개발비 ₩2억 분담 (옵션)
일정:
2025.03: 컨소시엄 협약 체결
2026.01: 제주도 시범 서비스 시작
자세한 내용은 [첨부 PDF]를 참고해 주시고, 2월 28일까지 회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AI Education Alliance
첨부 파일:
[AI_Education_Consortium_Proposal.pdf]
[Participation_Form.docx]
이 페이지의 Subpages는 유치원부터 대학원까지 과목별 또는 전공별 교사 Agent를 만드는 Fine-tuning에 이용할 데이터입니다.